회사에서 점심시간마다 틈틈이 실습하고 있다.
그렇다... 그만큼 회사일이 싫다는거다...
게다가 벌써 수강신청 기간이라니! 세에상에 소오름!
return() 함수와 cat() 함수 비교
return() 함수는 변수를 따로 출력하기 전에는 값이 출력되지 않는다.
cat() 함수는 변수에 저장해도 함수에 출력한 것처럼 바로 값이 출력된다.
그러나 변수를 호출하였을 때는 NULL 값 반환.
cat() 함수는 단순히 결괏값을 출력할 뿐 값을 함수 인자 안에 변환해주지 않기 때문.
그러므로 함수를 정의하여 구현한 값을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return() 함수 반드시 사용.
print() 함수와 cat() 함수 비교
cat() 함수는 여러 숫자, 문자를 구분없이 모두 출력.
print() 함수는 입력된 첫 번째 숫자 또는 문자(열)만 출력.
변수도 마찬가지.
R packages available 탭의 글자가 제대로 보이지 않을 때
1 2 3 | # 시스템 언어를 영어로 변경하기 Sys.setlocale("LC_ALL", "English_United States.1252") | cs |
R에서는 <-가 =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E의 값을 G로 할당하는 것이 먼저 수행되어서 변수 G가 생성되지 않음.
이럴때는 할당 연산자를 통일하든지, 괄호를 사용하든지 우선순위를 조정.
= 연산자는 함수 인자에 값을 넣을 때 사용할 수 없다.
str() 함수
R 언어에서 str() 함수는 객체의 구조(structure)를 출력한다.
객체의 타입, 크기, 데이터 구성 등을 간단히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Python에서 str() 함수는 주어진 객체를 문자열(string)로 변환한다.
View() 함수
R의 View() 함수는 RStudio에서 데이터 프레임이나 테이블 형태의 객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대문자 V로 시작한다.
R의 browser() 함수는 디버깅을 위해 사용되는 함수로, 코드 실행을 중단하고 인터랙티브 디버깅 환경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 함수는 특정 코드 실행 도중 상태를 점검하거나 오류를 조사하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하다.
<Chapter 03(기본) p. 113의 확인 문제 6번 풀고 인증하기>
<Chapter 03(추가) p. 143의 확인 문제 2번 풀고 인증하기>
복습인데도 뭔가 헛갈리는 부분들이 있다.
지난학기에 파이썬과 함께 들어서 그런지 자꾸 파이썬의 문법과 혼동이 된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도 배우고 싶은데 한가지 언어를 마스터 하고 배우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찍먹으로 이것저것 배우고 마음에 드는 것을 마스터 하는 것이 좋은지 잘 모르겠다.
현재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스터디원에게 개발자로 일하려면 여러 언어를 다 마스터 해야 하는 거냐고 물어본 적이 있는데
꼭 그렇지는 않다고 하시면서 한가지 언어를 마스터하고 그 원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셨다.
그렇게 하면 새로운 언어를 배울때에도 수월하게 배울 수 있다고 하시면서 말이다!
일단은 혼공단을 꾸준히 참여하면서 언어를 다 찍먹하는 것이 목표!